경제강의 : 사경인의 성공투자로드맵(4)
5,6강 : 투자 종목을 고르는 방법 - 기술적 분석과 퀀트투자
* Top-down VS Bottom-up
- Top-down : 경기분석 -> 산업분석 -> 종복 분석, 선택
- Bottom-up : 종목을 먼저 고르고, 해당 종목의 산업, 현재 경기를 분석
(사프로는 Bottom-up을 한다. top-down 하기에는 고려해야 하는 게 너무 많다.)
* Top-down approach
1) 경기분석 - 코스톨라니의 달걀 / 경기과 금리를 함께 본다
- 금리는 경기에 후행 : 경제가 좋을 때, 금리를 높인다. 경기가 안 좋으면 금리를 낮춘다.
- 호황&금리가 오른다 : 경기도 좋고, 금리도 좋으니 = 예금
- 불황&금리가 떨어진다 : 불황이 오면서 금리가 떨어진다 = 채권
- 불황&금리 더 떨어짐 : 경기가 바닥을 찍고 살아나기 시작 = 부동산
- 호황&금리가 바닥 찍고 오름 : 경기가 살아난다 = 주식
2) 산업분석
- 주식장면 4국면 (by 우라가미 구니오)
봄(금융장세:금리하락,재정투입) - 여름(실적장세:소재산업,가공산업) - 가을(역금융장세 : 경기후행주) - 겨울(역실적장세, 쉬는 시기)
- 경기 사이클에 따라 선호 업종이 변화하더라
3) 종목분석
- 산업을 고르고 그 안에서 종목을 고른다.
* Bottom-up approach
- 종목의 가치를 보고 현재 가격보다 싼 것을 고른다.
- 경제적 해자를 가진 기업을 골라라 by 버핏
경제적 해자의 예) 독점하고 있는가, 이익률(ROE)이 좋은 회사
그러나, 독점&ROE가 높은 회사가 투자하기 좋은 회사인가? NO!! 좋은 회사를 싸게 사자.
* Valuation
- 투자의 원칙은 싸게 사서 비싸게 팔아라.
싸게 사기 위해서는 가치(Earning,Book,Cash,Sales)와 가격(price)을 비교해야 한다.
- 상장기업들은 기업의 가치정보를 공개한다 : comp.fnguide.com (현재는 무료)
1) PBR (Price Book value Ratio)
- 자산가치(장부가치) 대비 현재 가격이 어떠한지, 기준은 1
- 자산의 가격을 계산하는 방법이 여러 가지, 회계 측정방법에 따라 자산가치가 달라진다.
- 근데,,, 제일 중요한 건 다른 시장 투자자들이 생각하는 그 기업의 가치이다!
내가 아무리 싸다고 생각해도 남들이 동의해주지 않으면 내가 잘 못 판단한 것이다.
- 기업가치를 분석할 때 보는 요소 : 안정성,수익성,활동성,성장성
-> 근데 이 중에 시장에서는 성장성을 제일 중요하게 생각한다.
- 장부상 금액은 굉장히 보수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PBR이 1보다 낮으면 저평가라고 생각한다.
2) PER (Price Earning Ratio)
- 수익대비 가격이 어떠한지
- PER 과거 수익대비 현재의 가치, ForwardPER(12PER) 미래예상이익 대비 현재의 가치
- PER = 연수익 대비 회사가치 = 회사의 연수익으로 회사를 사려면 몇년이 걸리는지 = 낮을 수록 좋다.
- 현재 가치 판단도 반영하지만, 성장성에 대한 기대를 반영할 수도 있다.
3) PEGR (Price Earning Growth Ratio)
- PER은 성장성을 반영하지 못한다. 그래서 나온것이 PEGR
- PEGR = PER/EPS성장률, 기준이1, 낮을수록 저평가주라 한다.
4) PCR (Price Cash flow Ratio)
- 현금흐름대비 가격 측정, 현금은 거짓말 하지 않으니
5) PSR (Price Sales Ratio)
- 매출액 대비 가격 측정
장부가치도 평가하기 어렵고, 현금흐름도 없고 그런회사는 어떻게 평가해야할것인가? 일단 매출액으로 평가하자.
ex) facebook 초기에
* 퀀트 QUANT 투자
- 퀀트투자 : 오로지 '숫자'에만 기반해 투자 결정
매매에 근거가 있기에 백테스트 가능, 자기의 기준을 피드백할 수 있다.
- 추천도서 : 할수있다! 퀀트 투자, 강환국 저 (초보 필독)
강환국 슈퍼가치 전략 PER+PBR+PCR+PSR : 50종목선정 백테스트 결과 CAGR 38%
* 종목선택과 주식투자
- 처음에 투자한다면 퀀트투자를 추천, 퀀트 투자를 통해 자신감이 생기면 개별주식 투자
하지만 본인이 잘 아는 회사, 산업에서 시작하세요. 자신이 다니는 회사부터 한번 분석해보세요.
- '주식투자=종목선택' 이라고 생각하지 마라.
* 소결론
- 좋은 회사를 고르고, 그 회사를 쌀 때 들어가.
- 가치평가를 하고 가치와 가격을 비교해라
- 초보자라면 퀀트투자를 통해 투자지표를 이해하고, 분산투자를 통해 위험부담을 줄여라
- 경험이 쌓이면 잘 아는 종목에 집중투자도 경험해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