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공부/강의

경제강의 - GMC 부자수업 4회 존리

ㄴㅇㅇㅁㄹㅇ 2020. 10. 29. 21:38

GMC 부자수업 2020

강연자 : 존리

강연주제 : 경제독립은 무엇인가

강의 날 : 2020년 10월 29일 목 19:30~

 

처음으로 듣는 실시간 부자수업 강의

존리 아저씨의 강의를 듣는 것이 처음은 아니지만 그래도 적으면서 잘 들어보자.


세계적으로 금융문맹이 제일 높은 나라는? 일본

현재 우리나라는 일본을 따라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금융문맹이 되지 말아야지

일본 반대로, 미국을 따라가자. 미국은 어떻게 경제대국이 되었는가? 미국 유태인의 영향

유태인들은 돈을 소중히 생각하고, 13살에 경제독립을 시작하게 함, 그리고 가정에서 경제관념 교육

중국도 돈을 좋아한다. No money, No life.

 

그런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돈을 부끄러워하고 돈을 터부시한다. 

한국은 돈이 일하게 하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주식투자를 해봐야 한다. 

나 대신 기업이 일하게 하라. 난 기업을 소유하고.

개별종목을 못 고르면 펀드하면 되지. 연금저축펀드 55세 까지 못찾고. 얼마나 좋은가

 

애들한테 공부시키지마라. 애들이 행복해야지. 잠을 많이 재워라.

애들 학원보낼 돈으로 주식을 사줘라. 그 아이들이 커서 부자가 될 것이다.

금융문맹이 진짜 무서운것이다. 

 

요즘 젊은 사람들이 주식을 많이 시작해서 다행이다. 그런데 다 불나방처럼 시작함-_- 그러지 마라.

돈을 벌면 적은 금액이라도 투자해라. 소비를 줄여라. 그리고 연금저축,퇴직연금 꼭 해라.

그리고 주식은 파는 게 아니다. 동업자를 고른다는 생각으로 주식에 투자해라. 

소비를 통해 만족감을 얻는게 아니라, 투자를 통해 미래에 투자하게 해야지.

 

주식을 사는 것은 돈이 일하게 하는 것이다. 불로소득이 아니다. 배당소득!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가로 살아라. 창업 & 주식

주식을 사는 것은 동업을 하는 것이다. 펀드는 주식을 분산투자하는 것. 펀드나 주식이나 똑같다.

그리고 복리의 마법을 경험해봐라.   돈이 스스로 일하게 하기에는 주식이 최고지.

몇십년 후에 찾을 생각으로 넣어놔라. 단기간의 주식 등락은 우리랑 상관없다. 

 

한국인이 노후준비 못하는 4가지 이유 : 사교육,자동차,보험,명품

차 사지 마라~ 렌트? 대중교통 타면 된다.

보험은 너무 많이 들어있다. 보험에 돈 내느라 투자할 돈이 없다.

 

미국에서 여성 펀드매니저 선별한 투자회사 성장성이 더 좋더라.

여성이 창업하고 엄마들이 금융교육 해야한다.

여성 CEO인 회사가 주가수익률이더 좋더라.  

 

질의응답

Q. 금융문맹 탈출을 위해 어떻게 자녀교육을 해야하는가?

A. 엄마도 공부하고, 같이 자녀들이랑 대화를 해라. 너무 성급하게 접근하게 하지마라

Q. 완전 금융초보인데 어떻게 접근해야할까?

 A. 일단 펀드를 들어라. 펀드매니저가 편지를 보내줄것이다.

     그리고 내가 쓴 책 '금융문맹 탈출' 봐라.

Q. 펀드말고 개별 기업을 고른다면 어떤 기준으로 골라야할까?

A. 일단 비상장은 안됨. 10년간 같이 할 기업을 고르고, 기업의 가치를 봐라.

Q. 그래도 한국사회에서는 취업하고 하려면 공부해야하지 않는가?

A. 공부하면 취업은 잘 하겠지만 부자는 안될꺼다

Q. 운용사는 어떻게 선택하는가

A. 펀드내 종목 회전률이 낮은 곳, 수수료 낮은 곳, 신뢰도가 있는 곳.

Q. 제일 수익이 좋었던 기업, 제일 손해가 컸던 기업은?

A. 삼성화재 300배, 그리고 실패는 없음 

Q. 지금 현재 제도들의 단점들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A. 그런 제도들은 미시적인 부분이다. 신경쓰지말고 주식투자해라.

 

희망을 가지고 부자가 되자.


역시 존리아저씨 강의는 똑같았다.

새로운 이야기 할 줄 알았는데 역시 아는이야기 또 하였다.

슬라이드에 새로운 내용 있었는데, 슬라이드는 그냥 막 슝슝슝슝슝 넘어가버리고

차라리 슬라이드에 집중해서 강의해줬으면 더 만족스러웠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래도 우리나라에 경제교육을 해야한다는 존리아저씨 의견에는 100프로 동의한다. 

존리아저씨 덕분에 우리나라 주식시장이 흥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