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공부/강의

서울머니쇼 2023 - 주식시장 전략

ㄴㅇㅇㅁㄹㅇ 2023. 5. 13. 13:43

3일차 세미나실1 14:30~15:30
시장상황에 맞는 나만의 맞춤투자전략
강연자: NH투자증권 백준기 수석연구원, 백찬규 주시전략팀장(연구위원)
(한명은 bottom-up으로 보고, 한명은 top-down으로 보고 있고)

2023년 주식투자 해도 될까?
경기순환에 따른 장기 투자전략 수립 시점이다.  
경기 순환 사이클: 회복(20년,21년1Q) - 성장(21년2Q,22년상반기) - 둔화(22년하반기) - 침체(23년상반기)
- 경기 둔화국면으로 들어갈 때, 주식을 하지 말아야 한다.
- 성장국면일때, 절대절대 들어가면 안된다. 예)너도나도 주식투자를 할 때(초딩 주식투자전재가 TV에 나올 때), 주식 차트책이 나올 때
- 침체국면일때, 주식 투자를 하여야한다!
- 지금은 둔화에서 침체기로 넘어가는 중!
  현재는  경기선행지표(주가,장단기금리차)는 계속 하락, 동행지표(산업생산,소매판매)는 횡보에서 하락으로 전환, 후행지표(성장률,임금) 상승에서 하락으로 전환
  이런 지표들의 방향성을 보면 경기 국면을 판단할 수 있다. 이런 방향성을 볼 때, 지금은 둔화에서 침체기로 넘어가는 중이다.
- 투자자의 심리: 낙관 - 흥분 - 희열 - 불안 - 부정 - 공포 - 절망 - 항복 - 우울 - 희망 - 낙관
   항복, 우울일때 투자를 하자. 이때가 최적의 투자시점!

지금까지 주식시장에 어떤 일이 있었나
다양한 테마들의 순환매가 많았다
- 2차 전지 광풍(에코프로)
- AI 열풍(챗gpt)
- 로봇열풍(삼성전자 레인보우로봇틱스 투자)
- 우주산업 예)한화시스템, 스페이스x

그러면 어떤 기준으로 포트폴리오를 꾸려야 하나? 2023년에 어떻게 해야할까?
백찬규 연구위원 예상)침체 이후 소형주부터 뜬다. 코스닥지수를 사보자.
재무상태표 : 자산 = 자본(자기자본) + 부채(타인자본)
- 자기자본의 역할이 중요하다
- ROE를 개선시켜야 한다 ROE=순이익률*총자산회전율*재무레버리지
  -> 순이익률, 재무레버리지는 개선시키기 어려우므로 총자산회전율(매출액/총자산)이 개선되는 업종과 기업에 주목해라

올해 이렇게 해봐라! 2023년 주식투자의 세가지 방법
- 워렌버핏(장기로 투자하자): 미국 지수(snp,나스닥), 한국 지수(코스피,코스닥)에 장기적 관점의 분할 매수
- 역발상(22년도에 가장 나빴던 것을 사자): 미국대형성장주(IT, 자유소비재, 커뮤니케이션) / 한국반도체, 인터넷, 헬스케어
- 구조적 성장(성장할 업종들, 앞으로 10개월 정도 투자): 2차전지, 로봇, 헬스케어, 방산, 엔데믹, 경기침체 수혜




백준기 수석연구원 예상) 스몰캡기업들(5천억이하), 저평가된 기업들(PER낮은) / 4개 종목 꼽아 왔음.
- 필옵틱스: 디스플레이 및 2차 전지 기업 (따라가는 종목)
- 인선이엔티: 폐기물 처리, 매출개선 기대 (기다리는 종목)
- 현대이지웰: 복지포인트몰 운영, 현대백화점 계열사, 기업이 망하지 않는이상 복지포인트는 계속 주고 통상임금에 포함 안됨.
- 아이쓰리시스템: 적외선 영상센서 개발, 방산 업체, 우주산업에도 진출



(강의 후기)
김영익 교수님이 말씀하신바와 같이 경기 국면 상 지금 침체기 -> 즉 투자하기 좋은 적기라고 한다.
개별종목 투자는 내 스타일이 아니라 그냥 그런갑다 했음.
경기선행지표&동행지표&후행지표 를 좀 더 공부해봐야 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