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공부/강의

서울머니쇼+ 2023 김경필 ‘재테크기술’

ㄴㅇㅇㅁㄹㅇ 2023. 12. 2. 11:51

서울머니쇼+ 강의
2023년 12월 2일 12:00~13:00

강연자: 김경필(머니트레이너, 경제칼럼니스트, 유투버)
주제: 2024 내 월급 모으기 전략

내년도에는 실물경제가 나아진다?
24년도 상반기는 주식시장 꿈틀은 할 꺼 같다.
이제까지는 경기를 희생시키고 물가를 잡으려고 했는데, 이제는 물가는 덜 잡고 경기를 올리려 할꺼다.

그래서 무엇을 해야하나? 놉! 무엇을 하지 말아야 하는가!!
주식시장이 정보에 대해 민감도가 높아졌다.  가치는 덜 상승하는데, 가격의 변동성이 더 심화되었다.

역사적으로 미국 금리와 경기침체의 상관관계를 통해 유추해보면 22년 23년도에 금리를 많이 올렸으니 24년 25년도에 경기침체가 올 수도 있다.
근데 2008년 전후로 경제를 바라보는 시선이 확! 변하였다.
2008년 이전에는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많이 하는게 미덕이었으나, 이제는 현재의 삶을 사는 소비가 많이 늘었다.

그럼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하는가? 목돈을 모으고 투자해야 전략적 자산배분을 해라
그럼 구성자산수를 늘리면 안전한 투자가 되는가? 아니다.
비체계적 위험은 줄일 수 있어도, 체계적 위험은 줄이지 못한다. 예) 경기침체가 오면 모두가 힘들다
돈을 모으고 분산투자를 해야 체계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예) 현금과 주식

앞으로 FOMO가 재등장 할꺼 같다. (21년도에 등장)
무언가에 쫓겨서 투자하지 말아라.

2030이면 본인소득의 50%는 저축해라
경제무개념의 3가지 착각
- 돈을 빌릴 때 이자만 생각한다. 원금상환 계획도 고려해야 한다.
- 창업을 할 때, 초기 자본금 투자는 3년안에 회수해야한다. 순수익에서 초기자본금 회수를 고려해야 한다.
- 월급을 받으면, 월급이 모두 내 돈인가? 앞으로 내가 월급 받을 나날이 줄어들므로 내 가치의 감가가 발생하므로 저축해야 한다.
직장인이 82.5만원도 저축을 못하면? 월 82.5만원씩 모아야 10년이면 1억, 더블로 모으면 5년에 1억

과거에는 하냐 / 안하냐에서 ‘안해을 때’ 실패가 컸다.
그러나 요즘은 ‘했을 때’의 실패가 크다.

저축을 막는 잘못된 생활비 10
- 일주일에 구내식당 말고 외식 3일 이상 한다. / 가능하면 구내식당 이용해라
- 기본요금 택시를 월 10회 이상탄다 / 한달에 5회 이하로만 타라
- 매일 두 잔은 꼭 커피를 테잌 아웃한다. / 하루에 한잔만 사마셔라
- 월소득의 3% 이상을 이벤트 비용으로 쓴다 / 이벤트비용(생일 선물 등)으로 3% 이내로만 지출
- 환절기마다 신상 옷을 산다. / 신상옷을 격년제로 사라
- 월 소득의 15% 이상 문화 레저비로 쓴다 / 문화레저비(영화,운동) 15% 이상 쓰면 저축 못한다
- 월소득의 30% 이상 식비로 쓴다 /
- 월소득의 15% 이상 주거비용으로 쓴다 / 24년은 이사갈 준비 해라, 초 직주근접이라면 주거비용을 낮춰라
- 선할부 결제 후 해외여행을 다닌다. / 평균 수입(월급+보너스/12) 의 최대 50%, 연봉의 4% 이내로만 한해 여행경비로 써라
- 월소득 6개월치 이상 되는 차를 탄다

결론!!
1억을 모아라.
연4% 이자로 생각하면 월264만을 모아야 3년에 1억 / 월153만 모으면 5년에 1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