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공부/강의

서울머니쇼+ 2023 - 박소연 ‘인플레이션 장기화 속 투자출구전략’

ㄴㅇㅇㅁㄹㅇ 2023. 11. 30. 16:58

2023 서울머니쇼+ @양재at센터
11/30 16:00~17:00

강연자: 박소연 /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사
주제: 매크로 시장 분석 최고전문가, 인플레이션 장기화 속 투자 출구 전략, Higher for Longer

Higher for Longer: 인플레에 올라타라
- 인플레이션과 명목가치, 재고사이클: 2차 오일쇼크와 주식시장
- 채권이 양면성: 반강제적 자산할당 vs 구매력의 이전
- 현금의 복귀, 복리의 귀환: 무수익 자산에서 수익형 자산으로
- 올드스쿨의 부활: Higher for Longer 3형제
- 부채의 활용: 부채가 항상 나쁜 것은 아니다, 부채는 항상 자산과 함께 존재한다.

내년은 금리가 인하하긴 할껀데, 그렇게 많이 인하는 이뤄지지 않을 것이다.
그럼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24년 상반기에 금리가 인하될 거란 금리 안하론이 부상하고 있다.
미국경기는 침체가 아니다. 소비가 살짝 둔화되긴 했지만, 침체의 정도는 아니다.
올해 11월에 살짝 국채발행을 적게함. 조삼모사;; 24년 2-3월 이후 다시 많이 국채 발행할 것 -> 재정적자 지속
왜 24년2월에 예산안 미통과로 셧다운 이슈가 재현될 수도 있음.. / 지금 임시예산안은 24년 1월,2월까지

우리나라 현재 금리는 3.5 / 미국은 5.5
미국이 이제 더이상 안올리니까, 우리도 금리 내릴수 있을까? 아니다. 이미 미국보다 낮음.
우리나라도 채권 발행이 많다. 한전채가 내년에 만기도래, 다른 채권들도 내년에 만기도래
-> 내년도는 채권쪽으로 돈이 빨려들어갈꺼다.. 쉽지 않은 상황

그래서 어쩌란 거야?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부의 헤게모니 이동’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저축자,채권자,월급쟁이’에게서 ‘정부,채무자,기업가’에게로 이동한다.
인플레이션 장세에서 채권을 사면, 채권이 자산시장 물가의 상승을 따라가지 못하므로 채권투자는 좋은 투자가 되지 못한다.

재고 Restocking이 돌아온다..!
인플레이션을 우려해서 사람들이 재고를 쟁여놓을꺼다.
23년 재고 조정 진행(재고소진 중), 24년에는 재고 조정완료로 restocking(다시 재고를 쌓는다)이 진행 가능성 있음
품목별로 재고사이클이 다르다.. 자동차는 재고여전히 많음, 컴퓨터 주변기기,의류 등은 재고가 감소 중
AI가 대중화 될 것이다. 인텔 엔비디아 AMD 마이크론
우리나라 반도체 재고들도 소진하는 중, 재고를 쌓아야 하는 상황이 오면 가격이 반등 될 것이다.
-> 재고사이클을 보고 투자를 해라